재미난 공부들

Seaborn barplot의 오차막대(error bar) 에 대해

HR & 빅데이터 2022. 8. 12. 15:14

 

Black error bar (ci)
  • seaborn.barplot() 에서 그래프를 구현하다보면 보게 되는 까만색 샤프심, 오차막대 (error)라고 불린다.
  • 기본적으로 함께 나타나도록 세팅되어 있으며, ci = 파라미터를 통해 조정 가능
  • 이 막대의 범위는 '부트스트랩 신뢰구간(Bootstrap Confidence Interval) 을 나타낸다.
  • 해석: 이 데이터를 기반으로, 유사한 100가지의 케이스에서 95개 이상은 해당 범위에서 결과를 얻음을 의미
  • 평균(mean), 중앙값(median), 최빈값(mode)등의 다른 값들을 함께 고려했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수치임
  • 기본값은 95% 신뢰구간이나 (ci = 95), 표준편차를 표현하고 싶다면 ci = 'sd' 로 지정 가능

 

 

 

 

 

 

seaborn.barplot()에서의 ci 옵션 예시 
  • ci = 95를 기준으로 신뢰수준 조절 가능, ci = 'sd'로 표준편차로 변경 가능
  • ci가 작을수록 까만 막대의 범위가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음.
  • seaborn 공식문서에서는 ci = None, True, False 차이 관련해서는 언급이 없어서 직접 시도해보았음
  • ci = None, ci = True, ci = False는 전부 ci가 없는 것으로 출력되도록 설정된 듯 함
  • 인 줄 알았으나, True와 None은 차이가 있음 ^^; (2022.08.12) 아직 원리는 밝히지 못함. 

 

 

출처: https://hleecaster.com/python-seaborn-barplot/

출처: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8362473/what-does-black-lines-on-a-seaborn-barplot-m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