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b Description 들을 훑어보다가 헷갈리는 용어를 발견했다.
거의 Intern, Contractor(Fixed-term), Permanent 세 종류의 계약 타입만 보았었는데 Independent Contractor는 처음 보는 용어이다. '독립 계약자' 라고 하면 프리랜서 개념.. 도급 계약 개념의 느낌인데 해당 포지션은 프로젝트 베이스가 아닌 경영지원 포지션이어서 의아했다. 찾아보기로 함.
(출처: www.rosstone.co.za/2019/07/01/fixed-term-v-s-independent-contractors/ 이며 남아프리카 노동법 기반이고, 아래 한국어는 주관적인 해석/의역임을 참고 바랍니다.)
Independent Contractor (독립 계약자)
1) 근무시간 스스로 정함
2) 다수의 사용자(회사)와 일할 수 있음
3) 정해진 프로젝트가 끝나면 계약 해지
4) PAYE+UIF (4대보험과 비슷한 개념), 연차휴가, 교통비 등 회사에서의 일반적인 지원 없음
Fixed-term Contractor (기간제 계약자)
1) 근무시간 스스로 정할 수 없음(고용자 등이 정하게 됨)
2) 계약을 맺은 사용자(회사)의 일부가 됨 - 동시에 두 회사에서 일하면 문제가 될 수 있음
3) 정해진 날짜 (프로젝트가 끝나는 날이든, 마지막 출근일이든) 에 계약 해지
4) 사용자(회사)에 경제적으로 의존하는 상태임
구분할 수 있는 주요한 요소는 근무시간을 정하는 주체, 중복 고용 가능여부, 그리고 업무와 관련된 지원들을 해 주느냐 안 해주느냐에 있다고 본다. 4)에서는 현금성 지원들만 이야기 했는데 원문을 보면 'tools', 즉 근무하는데 필요한 도구/자원들을 총칭한다고 해석해도 될 것 같다.
-
두 용어의 차이는 알았는데, 이 포지션이 왜 Independent Contractor인지는 아직도 의문이다^^;
'재미난 공부들 > HR & Business acumen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IBM: Digital Reinvention & 개인 중심의 경제 (0) | 2020.10.27 |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에서의 리더십과 애자일 기업문화 (0) | 2020.07.23 |
인공지능(AI) 면접 솔루션 '마이다스아이티 inAIR' (0) | 2020.06.28 |
코로나 펜데믹 이후 HR의 미래 (0) | 2020.05.27 |
HCM은 무엇의 약자일까? (0) | 2020.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