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난 공부들/HR & Business acumen 키우기

IBM: Digital Reinvention & 개인 중심의 경제

HR & 빅데이터 2020. 10. 27. 07:43

파일, 내용, 번역 출처:

IBM 기업가치 연구소(구글번역), www.ibm.com/thought-leadership/institute-business-value/report/digital-reinvention#

youtu.be/E1hVdpwUWjY

 

 

 

인공지능과 비즈니스의 결합 하면 가장 먼저 생각나는 회사가 IBM이다. 

필자가 처음으로 AI관련 기술을 접한 것도 IBM사의 Watson으로부터였다. 

 

사담을 조금 더하면... 지금은 Watson이 IBM의 대표 인공지능 이름(?) 으로 보인다. 하지만 2-3년전에는 인공지능 데이터분석 툴 이름 자체가 왓슨이었던 것으로 기억하는데.. 오랫만에 생각나서 들어가 봤더니 지금은 없어졌다. 당시 HR데이터를 넣고 결과값에 가장 많은 영향을 주는 인자 Best 1,2,3,n 뽑아주고.. 히트맵 그려주고.. Visualization해주고.. 뭐 그런일들을 해줬다. 당시는 아무것도 몰랐어서 내 생각대로 데이터가 안움직이는게 답답했던 기억만 있다 ^^;;;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DT)이다, 사무 자동화다, 기술 관련 여러 키워드들을 들어봤는데 IBM홈페이지에 들어가보니 해당 궁금증에 대한 자료들이 많이많이 있었다~~ 

 

 

1. 관련 보고서도 있고...

 

ibm-digital reinvention.pdf
0.97MB

 

 

 

2. 이런 짤막한 글도 여러개.. 

 

 

오늘은 '디지털 재창조 Digital Reinvention'및  '개인중심 경제' 관련 글을 소개해보려 한다. 

출처는 위에 나와 있는 IBM홈페이지이다. 

 

 

 


The individual-centered economy is already here 개인 중심 경제의 도래

*번역 - 구글번역

The newest digital technologies – among them social media, mobility, analytics and cloud – keep changing how people, businesses and governments interact. These digital forces enable unprecedented levels of connectedness and so the world is already investing in consumer-centricity. However, these new technologies are truly still in their infancies. The transformation that is already underway will soon intensify, resulting in a paradigm shift from customer-centricity toward an everyone-to-everyone (E2E) economy. The implication for value creation and allocation will be profound. New IBM research shows that many organizations are still not ready to navigate the E2E environment. To prepare for the radical disruption ahead, companies need to act now to create experiences and business models that are orchestrated, symbiotic, contextual and cognitive.

소셜 미디어, 모빌리티, 분석 및 클라우드와 같은 최신 디지털 기술은 사람, 기업 및 정부가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계속 변화시키고 있습니다. 이러한 디지털 힘은 전례없는 수준의 연결성을 가능하게하므로 세계는 이미 소비자 중심성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새로운 기술은 진정으로 아직 초기 단계에 있습니다. 이미 진행중인 변화는 곧 강화되어 고객 중심에서 E2E (Everyone-to-Everyone) 경제로 패러다임이 전환 될 것입니다. 가치 창출과 배분에 대한 의미는 심오 할 것입니다. 새로운 IBM 연구에 따르면 많은 조직은 아직 E2E 환경을 탐색 할 준비가되어 있지 않습니다. 앞으로의 급격한 혼란에 대비하기 위해 기업은 조정되고 공생하며 상황에 맞는인지 적 경험과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기 위해 지금 행동해야합니다. 

 

최신 디지털 기술 --> 연결성 --> 소비자 중심 --> E2E경제

But 기술은 초기단계, 혼란 대비 위해 기업/조직은 Agile하게 상황에 맞게 대응해야 한다. 

 

 

 

Today’s uber-connected, empowered individuals seek 24/7 access and organizational transparency. They want to exert greater personal influence over organizations and participate in more digital activities as they conduct their daily lives. In the IBM Global C-suite Study, 55 percent of 4,183 C-suite executives report that consumers have the most influence on business strategy, second only to the C-suite itself. Looking ahead, 63 percent of the leaders we surveyed in this 2013 IBM Digital Reinvention® Study expect consumers to gain even more power and influence over their businesses.

오늘날 인터넷에 연결되고 권한이있는 개인은 연중 무휴 24 시간 액세스 및 조직 투명성을 추구합니다. 그들은 조직에 더 큰 개인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일상 생활을 할 때 더 많은 디지털 활동에 참여하기를 원합니다. IBM 글로벌 최고 경영진 연구에서 4,183 명의 최고 경영진 중 55 %는 최고 경영진에 이어 두 번째로 소비자가 비즈니스 전략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답했습니다. 2013 년 IBM Digital Reinvention® 연구에서 설문 조사에 참여한 리더의 63 %는 소비자가 비즈니스에 대해 더 많은 힘과 영향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요약: 비즈니스에서의 개인의 영향력 증가 --> 디지털 활동을 통한 24시간 엑세스 및 조직투명성 추구

 

 

 

The culmination of accelerating digital and other technological forces is spawning disruption on an unprecedented scale. And yet, most organizations have not fathomed the full implications of a radically different, digitally-charged future. When asked what kind of digital strategy their enterprise has, more than sixty percent of CEOs told IBM they still lack an integrated physical and digital strategy.

가속화되는 디지털 및 기타 기술력의 정점은 전례없는 규모로 혼란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직은 근본적으로 다른 디지털 충전 미래의 모든 의미를 파악하지 못했습니다. 기업에 어떤 종류의 디지털 전략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CEO의 60 % 이상이 IBM에 여전히 통합 된 물리적 및 디지털 전략이 없다고 말했습니다.

 

요약: 기업들은 이러한 디지털 활동에 대한 전략이  부재

 

 

 

Digital technologies will ultimately drive drastic changes in the economy: value chains will fragment, industries will converge and new ecosystems will emerge. As a result, the mechanics of value creation and value allocation will also change. Looking five years out, 58 percent of 1,100 executives we surveyed in the Digital Reinvention Study expect new technologies to reduce barriers to entry and 69 percent expect more cross-industry competition.

디지털 기술은 궁극적으로 경제의 급격한 변화를 주도 할 것입니다. 가치 사슬은 분열되고 산업은 수렴되며 새로운 생태계가 나타날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가치 창출과 가치 배분의 메커니즘도 바뀔 것입니다. 5 년을 내다 보면 Digital Reinvention Study에서 조사한 1,100 명의 임원 중 58 %는 새로운 기술이 진입 장벽을 줄일 것으로 예상하고 69 %는 더 많은 산업 간 경쟁을 기대합니다.

 

요약: 새로운 기술들로 인해 산업간 경계가 무너질 것으로 예상

*참고자료: GAN기술 기반의 AI 자동차설계 (Product Designer-Creative 영역에 접목된 AI)

www.youtube.com/watch?v=lBA7IeyWx78&ab_channel=PCHInnovations

 

 

 

So, what will this future of continual digital disruption entail? How will new convergent technologies impact organizations and industries? What can organizations start doing today to begin preparing for a vastly different business environment? In particular, which investments, priorities and actions can set the stage for success during turbulent and ongoing change?

그렇다면 지속적인 디지털 파괴의 미래는 무엇을 수반할까요? 새로운 융합 기술이 조직과 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오늘날 조직은 매우 다른 비즈니스 환경에 대비하기 위해 무엇을 시작할 수 있습니까? 특히 어떤 투자, 우선 순위 및 조치가 격동적이고 지속적인 변화에 성공할 수있는 단계를 설정할 수 있습니까?

 

요약: 이러한 변화를 대비하기 위해서 조직은 어디에 우선을 두고 투자해야 할까요?

 

 


 

 

 

뭐..flow 상 IBM의 솔루션을 쓰세요 이런 것이겠지만.. 조금 흥미롭다. 

 

기술 발전과 개인 중심이 어떻게 연결이 될까 싶었는데, 여기에 '코로나19'와 '재택근무'라는 개념을 섞어 상상해보면 명확해진다. 사무실에 옹기종기 모여서 커피 타임을 갖거나, 단체 운동회를 하거나, 강당에 모여 교육을 듣거나 하는 물리적인 Grouping이 사라졌고, 그 자리는 각자 편한 옷을 입고 Zoom미팅 (a.k.a 기술력) 으로 금방 만나고 금방 흩어지는 직원 개개인들이 채우게 되었으니 어찌 보면 당연한 이야기이다. Everyone to Everyone으로 빠르게 변화하는 만큼, 디지털 기술도 이들을 잘 연결시켜 줄 수 있도록 때맞춰 재창조 되어야 할 것이다. 

 

다음 글에서는 보고서를 한번 해석해 볼 지, 연관 글들을 볼 지 아직 모르겠다.